레이블이 깃허브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깃허브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2년 11월 7일 월요일

깃허브 5강(협업)

 1. 여러 컴퓨터에서 원격 저장소 함께 사용하기

(1) git clone 원격 저장소 주소 : 현재 폴더에 소스 코드를 다운 받아서 동기화

(2) git remote -v : 원격 저장소와 연결 확인

(3) git push : 자신의 컴에서 작업한 것을 원격 저장소에 올리기

(4) git pull : 원격 저장소의 최신 커밋 가져오기


2. 원격 브랜치 정보 가져오기

(1) git fetch : 원격 저장소의 정보를 가져오기

(2) git status : 현재 내 컴퓨터와 원격 저장소의 커밋 상태를 확인

(3) git checkout FETCH_HEAD : fetch 에서 가져온 최신 커밋을 확인


3. 여러 명이 협업 하기

(1) 깃허브 저장소 -> Settings -> Collaborators -> Add people -> 협업자 이메일  -> 등록

(2) git init : 등록자 컴퓨터 폴더 초기화

(3) git config user.name "협업자 이름" : 협업자 이름 등록

(4) git config user.email "협업자 메일 주소" : 협업자 이메일 등록

(5) git clone 원격 저장소 주소 : 현재 프로젝트 최신 커밋 다운받기

(6) git push -u origin master : 협업자가 작업한 내용 처음 원격 저장소에 넣기

(7) git push : (6) 이후에는 이 명령어로 넣음


깃허브 4강(백업)

1. 깃 허브란? 

3강까지는 자신의 컴퓨터에 버전 관리를 했다면 깃 허브는 외부 서버에 백업하는 것이다.

먼저 깃 허브에 가입하고, 주소를 획득하여 올리는 것이 시작이다.


2. 내 컴에 있는 깃을 깃허브에 연결하는 법

(1) 깃으로 관리 하고 있는 폴더로 이동

(2) git remote add origin 깃허브에서 복사한 주소

(3) git remote -v : 깃허브에 제대로 연결되었는지 확인


3. 깃 허브에 올리기, 내려받기

(1) git push -u origin master : 컴 저장소의 브랜치를 원격 저장소의 master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한번만 사용

(2) git push : (1) 이후에는 이 명령어로 원격 저장소에 올림.

(3) git pull origin master : 원격 저장소의 최신 버전을 가져옴


4. 깃 허브에 SSH 원격 접속하는 법

(1) 홈 디렉토리에서 ssh-keygen : 홈디렉토리/ .ssh에 공개키, 비공개키 생성 명령어

(2) cat id_rsa.pub : 공개키 미리 보기로 공개키 문자열 복사

(3) 깃허브 로그인 -> 사용자 -> settings ->  SSH and GPG keys -> New SSH key 클릭 후 이름 + 공개키 문자열 붙이기 -> 저장

(4) 깃허브 -> Code -> SSH 주소 복사

(5) git remote add origin SSH 주소 붙이기

2022년 11월 6일 일요일

깃허브 3강(깃, 브랜치)

 1. 브랜치란? 

개발을 하다 보면 따로 분리 되어 개발을 진행해야 하는 경우가 생기는데 

그때 메인 개발과 별도로 서브 개발은 따로 분리 하였다가 

완성 후 병합하는 것을 의미 한다.


2. 브랜치, 병합 관련 명령어

git branch : 현재 브랜치를 확인

git branch 브랜치명 : 브랜치를 새로 생성

git checkout 브랜치명 : 해당 브린치로 이동

git log : 커밋 확인 

--oneline : 커밋 간단 확인

--branches : 각 브랜치의 커밋 확인

--graph : 브랜치와 커밋의 관계를 간단한 그래픽으로 표시


git reset 브랜치 해시값 : 현재 커밋을 다른 브랜치에 있는 해시값의 위치로 되돌림

git checkout master : 마스터로 이동

git merge 병합할 브랜치 명 : 마스터와 브랜치를 병합(마스터로 이동 후 사용해야 함)

git branch -d 삭제할 브랜치명 : 병합이 끝난 브랜치를 삭제(-D는 병합 전 강제 삭제)

git stash : 작업 트리의 수정 내용을 따로 보관해서 감춤

git stash pop : 따로 보관 했던 수정 내용을 꺼냄





2022년 11월 5일 토요일

깃허브 1~2강(명령어)

1. git으로 할 수 있는 것?

버전 관리, 백업, 협업


2. 깃 프로그램 종류

깃허브 데스크톱(깃허브에서 제공하는 GUI) : https://desktop.github.com/

토터스 깃(윈도우 전용) : https://tortoisegit.org/

깃(윈도우, 맥, 리눅스) : https://git-scm.com/


3. 깃 환경 설정

git config --global user.name "사용자이름(영문)"

git config --global user.email "깃허브 가입 이메일"


4. 자주 쓰는 리눅스 명령어

pwd : 현재 위치의 경로

ls : 디렉터리와 파일 표시

-ls 옵션 -

-a : 숨긴 파일과 디렉터리도 함께 표시

-l : 파일이나 디렉터리 상세 정보를 함께 표시

-r : 파일의 정렬 순서를 거꾸로 표시

-t : 파일 작성 시간 순으로 내림차순 표시

cd : 디렉터리 이동

cd .. :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

cd ~ : 홈 디렉터리로 이동

mkdir  : 디렉터리 생성

rm : 디렉터리 삭제 (-r 옵션 시 하위 디렉터리와 파일까지 함께 삭제)


5. 자주 쓰는 깃 명령어

git init : 현재 디렉토리에 후 깃 저장소 생성

git status : 깃 상태 확인

git add 파일명 : 수정한 파일 스테이징 (git add . : 전체 파일 스테이징)

git commit : 커밋

-m : 커밋 + 변경사항 메세지 기록

--amend : 커밋 메세지 수정 


git log : 저장소에 저장된 커밋 기록 확인(--stat 옵션시 : 커밋 관련 파일까지 출력)

git diff :  작업 트리에 있는 파일과 스테이지에 있는 파일 비교

git checkout --파일명 : 작업 트리에서 수정한 파일 되돌리기

git reset HEAD 파일이름 : 스테이징 되돌리기

--soft HEAD^ : 최근 커밋 전 상태로 작업 트리 되돌린다.

--mixed HEAD^ : 최근 커밋 + 스테이징 전 상태로 되돌리기(기본)

--hard HEAD^ : 최근 커밋 + 스테이징 + 파일 수정 전 상태로 되돌리기

--hard 해시 값 : 특정 커밋으로 돌아가고 그 이후 버전 삭제


git revert 해시 값 : 커밋은 되돌리되 해시값 이후의 커밋 삭제는 안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