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0월 24일 목요일

헉 내가 무려 3개월이나 포스팅을 안했다니 ㄷㄷㄷ

이건 게으름일까 습관이 안들어일까? ㄷㄷㄷ;;

HTML 5, 유니티는 새로 배웠고

C++, SQL는 복습했는데

여기에 올리지 않았으니........;;

게으른 개발자라고 오해할 수도 있겠네 ㄷㄷㄷ(그래봐야 보는 사람 하나 없지 ㅡ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서 올려야겠네!!

그리고 자료구조는 그림으로 설명하는게 더 좋은데 여기선 힘들어서 포스팅 종료 ㅡㅡ;;


2013년 7월 15일 월요일

자료구조를 다시 복습하고 있다.

이번에는 교재에 있는 동영상 강좌를 보며 하고 있다.

복습이 끝나면 링크 리스트3 부터 다시 게시하도록 하겠다.

일단 정보보안기사 합격여부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17일에 발표되니 그 전까지 복습을 마치고 합격하면 실기 준비하고

불합격하면 자료구조 공부를 하겠다.....


2013년 6월 5일 수요일

4장 - 연결 리스트 2

후아~~ 이거 공부하는데 많은 난관이 있었다.
허리 통증으로 병원다니고, 어머니 잠시 입원하고, 컴퓨터 하드도 맛이 가서 고치고, 
보안 기사 시험 접수도 했고~
대신 사무자동화 시험을 100점으로 합격하는 영광(?)을 누렸다.

보안 기사 시험(7/6) 까지는 당분간 자료구조 공부는 중단해야겠다.
연결 리스트 2까지만 일단 복습해 보겠다~
---------------------------------------------------------------------------------
3장은 배열에 의한 리스트였다. 즉, 자료가 쭈~~~욱 다 연결되어 있는 배열 형태라는 거다.
배열의 단점이 길이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잘못하면 
오버플로우가 걸리는 비극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그래서 연결 리스트2 는 이것을 동적으로 메모리 연결을 하겠다는 것이다.
아따 동적 연결은 또 뭐당가??
그야말로 필요할 때마다 동적(?)으로 메모리를 야금야금 잡아먹으면서 늘였다 줄였다 하며 자료를 저장하겠다는 것이다.
동적으로 하기 위해서 필요한 요소가 몇가지 있다.
1. 메모리 할당 
2. 메모리 접근
3. 메모리 해제

뭐 너무도 당연한 것이지만 함 써봤다.
배열에는 배열 번호(정확히는 주소)가 있어서 쉽게 접근이 가능했으나
동적인 연결리스트에서는 다음 자료가 어디에 붙어 있는지 찾아가는 주소가 있어야 한다.
이 주소가 없으면 그냥 뒷자료는 유실되고, 상사에게 조낸 쳐맞는거다.
여기에선 당연하게 포.인.터. 가 나온다.
벌써 포인터 이야기만 듣고 나가는 사람은 없길 바란다.
포인터를 쉽게 생각해보자.
윈도우 단축 아이콘을 바탕화면에 끌어다 쓰지 않는가??
그 단축 아이콘에는 실제 실행되는 파일의 "위치 정보"가 있다.
이 위치 정보가 바로 "포인터 주소"인 것이다!!

어째든 연결 리스트에는 각 노드(책에서는 자료를 담은 바구니로 표현했다)마다 다음 노드의 위치를 기억을 해놓는 것이다.
마치 사슬이 하나하나 연결되듯이 자료가 여기저기 흩어져있지만(메모리 상에) 
이걸 연결 해서 쓰는게 동적 연결 리스트 구조인 것이다!!

신혼부부가 몸으로 대화하듯이(어머>.<) 개발자는 코드로 대화를 해야한다. 코드를 닥치고 보자
---------------------------------------------------------------------------------
LiinkedRead.c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typedef struct _node
{
int data;
struct _node * next; //재귀함수
} Node;

int main(void)
{
Node * head = NULL;    // NULL 포인터 초기화
Node * tail = NULL;
Node * cur = NULL;

Node * newNode = NULL;
int readData;

/**** 데이터를 입력 받는 과정 ****/
while(1)
{
printf("자연수 입력: ");
scanf("%d", &readData);
if(readData < 1)
break;

/*** 노드의 추가과정 ***/
newNode = (Node*)malloc(sizeof(Node));
newNode->data = readData;
newNode->next = NULL;

if(head == NULL)
head = newNode;
else
tail->next = newNode;

tail = newNode;
}
printf("\n");

/**** 입력 받은 데이터의 출력과정 ****/
printf("입력 받은 데이터의 전체출력! \n");
if(head == NULL) 
{
printf("저장된 자연수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n");
}
else 
{
cur = head; 
printf("%d  ", cur->data);   // 첫 번째 데이터 출력
while(cur->next != NULL)    // 두 번째 이후의 데이터 출력
{
cur = cur->next;
printf("%d  ", cur->data);
}
}
printf("\n\n");

/**** 메모리의 해제과정 ****/
if(head == NULL) 
{
return 0;    // 해제할 노드가 존재하지 않는다.
}
else 
{
Node * delNode = head;
Node * delNextNode = head->next;

printf("%d을(를) 삭제합니다. \n", head->data);
free(delNode);    // 첫 번째 노드의 삭제
while(delNextNode != NULL)    // 두 번째 이후의 노드 삭제 위한 반복문
{
delNode = delNextNode;
delNextNode = delNextNode->next;

printf("%d을(를) 삭제합니다. \n", delNode->data);
free(delNode);    // 두 번째 이후의 노드 삭제
}
}

return 0;
}
---------------------------------------------------------------------------------
자~ 이걸 이제 조금 분석해 보자.
구조체 Node를 선언했다.
이건 계속 다음 노드를 보면서 next로 이동이동 하는 것이다.
그럼 메인안에 있는 변수들을 보자.
뭔 놈의 포인터 변수가 이리 많냐~? 하는 분들은 좌절하지 말라.
head 는 노드의 시작 지점, tail 은 끝 지점, cur 은 다음 노드의 위치 값
을 저장하는 곳 포인터 변수이다.

연결 리스트에서 삽입/삭제시 가장 중요하게 해야할 일이 있다.
노드를 끊기 전에는 반드시 다음 노드의 주소 값을 보존해야 한다는 것이다.
걍 아무 생각 없이 끊어버리면 다음 주소 이후의 데이터는 접근이 불가능해져서 없어져 버린다는 것이다.

이건 그림을 보고 이해하는 것이 빠른데 여긴 그림 그리기 도구도 없는 후진 블로그라서  걍 책으로 이해하길 바란다-_-;

뒤로 훨씬 긴 이야기가 있지만 지금 위의 소스를 삽입/삭제/조회/정렬 로 디테일하게 들어간 것이니 역시 책을 보고 이해를 할 수 밖에 없다 ㅡㅡ;;;

위 소스에는 정렬 부분이 없으니 정렬만 따로 언급하겠다.
정렬에 필요한 요소가 3가지 있다.
1. 정렬 기준이 되는 SetSortRule 함수
2. SetSortRule 함수를 통해서 전달된 함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LinkedList의 멤버comp
3. comp에 등록된 정렬기준을 근거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SLinsert 함수
역시 개발자는 코드로 설명해야 한다. 코드를 보자 -_-
---------------------------------------------------------------------------------
//헤더 부분
#ifndef __D_LINKED_LIST_H__
#define __D_LINKED_LIST_H__

#define TRUE 1
#define FALSE 0

typedef int LData;

typedef struct _node
{
LData data;
struct _node * next;
} Node;

typedef struct _linkedList
{
Node * head;
Node * cur;
Node * before;
int numOfData;
int (*comp)(LData d1, LData d2);
} LinkedList;


typedef LinkedList List;

void ListInit(List * plist);
void LInsert(List * plist, LData data);

int LFirst(List * plist, LData * pdata);
int LNext(List * plist, LData * pdata);

LData LRemove(List * plist);
int LCount(List * plist);

void SetSortRule(List * plist, int (*comp)(LData d1, LData d2));

#endif
---------------------------------------------------------------------------------
//연결리스트 부분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include "DLinkedList.h"

void ListInit(List * plist)
{
plist->head = (Node*)malloc(sizeof(Node));
plist->head->next = NULL;
plist->comp = NULL;
plist->numOfData = 0;
}

void FInsert(List * plist, LData data)
{
Node * newNode = (Node*)malloc(sizeof(Node));
newNode->data = data;

newNode->next = plist->head->next;
plist->head->next = newNode;

(plist->numOfData)++;
}

void SInsert(List * plist, LData data)
{
Node * newNode = (Node*)malloc(sizeof(Node));
Node * pred = plist->head;
newNode->data = data;

while(pred->next != NULL &&
plist->comp(data, pred->next->data) != 0)
{
pred = pred->next;
}

newNode->next = pred->next;
pred->next = newNode;

(plist->numOfData)++;
}


void LInsert(List * plist, LData data)
{
if(plist->comp == NULL)
FInsert(plist, data);
else
SInsert(plist, data);
}

int LFirst(List * plist, LData * pdata)
{
if(plist->head->next == NULL)
return FALSE;

plist->before = plist->head;
plist->cur = plist->head->next;

*pdata = plist->cur->data;
return TRUE;
}

int LNext(List * plist, LData * pdata)
{
if(plist->cur->next == NULL)
return FALSE;

plist->before = plist->cur;
plist->cur = plist->cur->next;

*pdata = plist->cur->data;
return TRUE;
}

LData LRemove(List * plist)
{
Node * rpos = plist->cur;
LData rdata = rpos->data;

plist->before->next = plist->cur->next;
plist->cur = plist->before;

free(rpos);
(plist->numOfData)--;
return rdata;
}

int LCount(List * plist)
{
return plist->numOfData;
}

void SetSortRule(List * plist, int (*comp)(LData d1, LData d2))
{
plist->comp = comp;
}
---------------------------------------------------------------------------------
//메인함수 부분
#include <stdio.h>
#include "DLinkedList.h"

int WhoIsPrecede(int d1, int d2)
{
if(d1 < d2)
return 0;    // d1이 정렬 순서상 앞선다.
else
return 1;    // d2가 정렬 순서상 앞서거나 같다.
}

int main(void)
{
// List의 생성 및 초기화  ////////////
List list;
int data;
ListInit(&list);

SetSortRule(&list, WhoIsPrecede);

// 5개의 데이터 저장  ///////////////
LInsert(&list, 11);  LInsert(&list, 11);
LInsert(&list, 22);  LInsert(&list, 22);
LInsert(&list, 33);

// 저장된 데이터의 전체 출력 ////////////
printf("현재 데이터의 수: %d \n", LCount(&list));

if(LFirst(&list, &data))
{
printf("%d ", data);
while(LNext(&list, &data)) 
printf("%d ", data);
}
printf("\n\n");

// 숫자 22을 검색하여 모두 삭제 ////////////
if(LFirst(&list, &data))
{
if(data == 22)
LRemove(&list);
while(LNext(&list, &data))
{
if(data == 22)
LRemove(&list);
}
}

// 삭제 후 저장된 데이터 전체 출력 ////////////
printf("현재 데이터의 수: %d \n", LCount(&list));

if(LFirst(&list, &data))
{
printf("%d ", data);
while(LNext(&list, &data))
printf("%d ", data);
}
printf("\n\n");
return 0;
}
---------------------------------------------------------------------------------
이렇게 보기엔 무지하게 복잡하고 어이 없어 보이지만
간단하게 요약해 보겠다.

1. 앞 값과 뒷 값을 비교한다.
2. 정렬 기준에 따라 0이나 1을 반환한다.
3. 정렬 기준에 따라 노드의 위치를 바꾼다. 
3-1.  같은 값은  냅둔다.
1~3을 죽어라 반복한다.
4. 완료되었으면 출력하고 끝낸다.

내가 봐도 너무 대충 설명한 거 같아서 좀 찔린다 ㅡㅡ;;
역시 이것은 복습의 장소이지 공부의 장은 아니다.

책을 보고, 직접 해보고 이해하는 수밖에 없다.
날씨도 점점 더워지고, 허리도 아프고, 자격증 시험의 압박도 있고,
잠시 자료구조 공부는 중단하기로 했다.
책은 "윤성우의 자료구조" 이다.

그럼 당분간 빠이여~~ ;;;

2013년 5월 20일 월요일

3장 - 연결 리스트 1

연결리스트에 앞서 추상 자료형을 설명한다.
추상 자료형이 뭐지?? -_-?
추상....... 구체적인 기능의 완성과정을 언급하지 않고, 순수하게 기능이 무엇인지 나열한 것
이라고 하는데 뭔소린지 모르겠다.
기능을 나열한 것을 뭐라 표현할 수 있을까??
예를 들면 TV에 대한 공통된 기능을 보자.

1. tv를 켠다.
2. 채널을 바꾼다.
3. 볼륨을 바꾼다.
4. tv를 끈다.

위 기능은 tv라면 다 있어야 하는 기능이다. 이것을 추상 자료형이라고 한다.

이제 이 추상자료형(ADT : Abstract Data Type)을 자료구조 학습에 포함 시킨다.

1. 리스트 자료구조의 ADT를 정의한다.
2. ADT를 근거로 리스트 자료구조를 활용하는 main 함수를 정의한다.
3. ADT를 근거로 리스트를 구현한다.

리스트란 무엇인가? 리스트라는 자료구조는 구현 방법에 따라 2가지로 나뉜다.

1. 순차 리스트 - 배열을 기반으로 구현된 리스트
2. 연결 리스트 - 메모리의 동적 할당을 기갑으로 구현된 리스트

이번 장에는 1번 배열을 기반으로 구현된 순차 리스트를 알아볼까 한다.
순차 리스트의 중요한 특성은 아래와 같다.

데이터를 나란히 저장함, 중복된 데이터의 저장을 막지 않음

그럼 리스트 자료구조의 ADT를 정의해 보자.

*void ListInit(List * plist)
-초기화할 리스트의 주소 값을 인자로 전달한다.
-리스트 생성 후 제일 먼저 호출되어야 하는 함수이다.

*void LInsert(List * plist, LData data)
-리스트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매개변수 data에 전달된 값을 저장한다.

*int LFirst(List * plist, LData * pdata)
-첫 번째 데이터가 pdata가 가르키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데이터의 참조를 위한 초기화가 진행된다.
-참조 성공시 true(1), 실패시 false(0) 반환

*int LNext(List * plist, LData * pdata)
-참조된 데이터의 다음 데이터가 pdata가 가리키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순차적인 참조를 위해서 반복 호출이 가능하다
-참조를 새로 시작하려면 먼저 LFirst 함수를 호출해야한다.
-참조 성공시 true(1), 실패시 false(0) 반환

*LData LRemove(List * plist)
-LFirst 또는 LNext 함수의 마지막 반환 데이터를 삭제한다.
-삭제된 데이터는 반환한다
-마지막 반환 데이터를 삭제하므로 연이은 반복 호출을 허용하지 않는다.

*int LCount(List * plist)
-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수를 반환한다.

아래는 위의 정의를 구현한 소스 코드다.
---------------------------------------------------------------------------------

이건 c 부분

#include <stdio.h>
#include "ArrayList.h"

//초기화할 리스트의 주소 값을 인자로 전달
void ListInit(List * plist)
{
(plist->numOfData) = 0;
(plist->curPosition) = -1;
}
//리스트에 데이터 저장
void LInsert(List * plist, LData data)
{
if(plist->numOfData > LIST_LEN)
{
puts("저장이 불가능합니다.");
return;
}

plist->arr[plist->numOfData] = data;
(plist->numOfData)++;
}
//첫번째 데이터를 pdata가 가르키는 메모리에 저장
int LFirst(List * plist, LData * pdata)
{
if(plist->numOfData == 0)
return FALSE;

(plist->curPosition) = 0;
*pdata = plist->arr[0];
return TRUE;
}
//참조된 데이터의 다음 데이터가 pdata가 가리키는 메모리에 저장
int LNext(List * plist, LData * pdata)
{
if(plist->curPosition >= (plist->numOfData)-1)
return FALSE;

(plist->curPosition)++;
*pdata = plist->arr[plist->curPosition];
return TRUE;
}
//LFirst 또는 LNext 함수의 마지막 반환 데이터를 반환
LData LRemove(List * plist)
{
int rpos = plist->curPosition;
int num = plist->numOfData;
int i;
LData rdata = plist->arr[rpos];

for(i=rpos; i<num-1; i++)
plist->arr[i] = plist->arr[i+1];

(plist->numOfData)--;
(plist->curPosition)--;
return rdata;
}
//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수를 반환
int LCount(List * plist)
{
return plist->numOfData;
}

---------------------------------------------------------------------------------
헤더 부분

#ifndef __ARRAY_LIST_H__
#define __ARRAY_LIST_H__

#define TRUE 1 //'참'을 표현하기 위한 매크로 정의
#define FALSE 0 //'거짓'을 표현하기 위한 매크로 정의

/*** ArrayList의 정의 ****/
#define LIST_LEN 100
typedef int LData; //LDdata에 대한 typedef 선언

typedef struct __ArrayList  //배열기반 리스트를 정의한 구조체
{
LData arr[LIST_LEN]; //리스트의 저장소인 배열
int numOfData;           //저장된 데이터의 수
int curPosition;           //데이터 참조 위치를 기록
} ArrayList;


/*** ArrayList와 관련된 연산들 ****/
typedef ArrayList List;

void ListInit(List * plist);                      //초기화
void LInsert(List * plist, LData data);   //데이터 저장

int LFirst(List * plist, LData * pdata);   //첫 데이터 참조
int LNext(List * plist, LData * pdata);  //두 번째 이후 데이터 참조

LData LRemove(List * plist);              //참조한 데이터 삭제
int LCount(List * plist);                      //저장된 데이터의 수 반환

#endif
---------------------------------------------------------------------------------
내가 공부하면서 잘 이해가 안갔던 것은 삭제 부분 이었다.
이 부분만 따로 한번 더 보자

1. 삭제할 데이터를 찾는다.
2. 삭제할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한다.
3. 삭제 뒷부분의 데이터 전부를 -1칸 이동시킨다.
4. 데이터 수를 -1 줄인다.
5. 참조위치를 -1 한다.
6. 임시 저장한 데이터를 반환한다.(뭐를 지웠는지 보여주기 위함)


책에는 그림으로도 설명되어 있어서 더 이해가 빠르다.
왠만하면 책도 사서 보자.

책은 "윤성우의 열혈 자료구조" 이다.

2013년 5월 10일 금요일

2장 - 재귀(Recursion)

2강은 재귀다. 재귀 함수는 자기가 자신을 호출하는 것이다.
이....이게 뭔소리지??
일단 코드를 보고 이해해보자.
---------------------------------------------------------------------------------

#include <stdio.h>

void Recursive(int num)
{
if(num<=0)
return;

printf("Recursive call! %d \n", num);
Recursive(num-1);
}

int main(void)
{
Recursive(3);
return 0;
}
---------------------------------------------------------------------------------
재귀 함수는 탈출 조건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무한루프에 빠질테니...;;
이번엔 재귀 함수를 이용해서 팩토리얼을 구해보자.

1. 재귀 함수를 이용한 팩토리얼

팩토리얼이란??
4! 이면 4 x 3 x 2 x 1 을 하는 것이다.
이걸 다르게 보면 n! = n x (n-1) x (n-2) x ..... x 2 x 1 이고,
이걸 압축해 보면 n! = n x (n-1)!
그리고 0! 은 1이므로 이걸로 재귀함수의 탈출 조건으로 삼자.

소스 코드를 보자~
---------------------------------------------------------------------------------

#include <stdio.h>

int Factorial(int n)
{
   if(n==0)
       return 1;
   else
       return n * Factorial(n-1);
}

int main(void)
{
printf("1! = %d \n", Factorial(1));
printf("2! = %d \n", Factorial(2));
printf("3! = %d \n", Factorial(3));
printf("4! = %d \n", Factorial(4));
printf("9! = %d \n", Factorial(9));
return 0;
}
---------------------------------------------------------------------------------
너무 간단한가? ㅡㅡ;;; 하긴 나도 책에 있는 것을 복습 차원에서 또 쓰는 것이니....;;
소스코드를 베껴 쓰기보단 재귀 함수를 어찌 활용하는지 과정이 더 중요하다.
이번에는 피보나치 수열을 재귀 함수로 표현(?) 해보자.
먼저 피보나치 수열의 패턴을 생각해보자.
피보나치 수열이란?
첫째값과 둘째값을 더해서 셋째값을 구하고 한칸씩 이동하여 계속 반복하는 것이다.
이걸 식으로 나타내면
수열의 n번째 값 = 수열의 n-1번째 값 + 수열의 n-2번째 값
이걸 소스코드로 표현해보면.
--------------------------------------------------------------------------------

#include <stdio.h>

int Fibo(int n)
{
if(n==1)
return 0;
else if(n==2)
return 1;
else
return Fibo(n-1)+Fibo(n-2);
   }

int main(void)
{
int i;
for(i=1; i<15; i++)
printf("%d ", Fibo(i));

return 0;
}
---------------------------------------------------------------------------------
2. 이진 탐색을 재귀 함수로 표현


이진 탐색도 값을 찾을 때까지 계속 동일한 패턴으로 반복하는 것이니 재귀 함수로 표현할 수 있다.
그럼 반복 패턴을 정리해보자.

1. 탐색 범위의 중앙에 목표값이 있나?
2. 없으면 범위를 반으로 줄이고 찾을 때까지 반복
3. 시작 위치를 의미하는 first가 탐색 범위의 끝을 의미하는 last 보다 커지는 경우 끝

이걸 소스 코드로 표현해보면
---------------------------------------------------------------------------------

#include <stdio.h>

int BSearchRecur(int ar[], int first, int last, int target)
{
int mid;
if(first > last)
return -1;    // -1의 반환은 탐색의 실패를 의미
mid = (first+last) / 2;    // 탐색대상의 중앙을 찾는다.

if(ar[mid] == target)
return mid;    // 검색된 타겟의 인덱스 값 반환
else if(target < ar[mid])
return BSearchRecur(ar, first, mid-1, target);
else
return BSearchRecur(ar, mid+1, last, target);
}

int main(void)
{
int arr[] = {1, 3, 5, 7, 9};
int idx;

idx = BSearchRecur(arr, 0, sizeof(arr)/sizeof(int)-1, 7);
if(idx == -1) //탈출 조건
printf("탐색 실패 \n");
else
printf("타겟 저장 인덱스: %d \n", idx);

idx = BSearchRecur(arr, 0, sizeof(arr)/sizeof(int)-1, 2);
if(idx == -1)
printf("탐색 실패 \n");
else
printf("타겟 저장 인덱스: %d \n", idx);

return 0;
}
---------------------------------------------------------------------------------

3. 하노이 타워

하노이 타워는 3개의 기둥을 이용해 1번에 있는 탑을 3번의 탑으로 이동 시키는 것이다.
규칙은 작은 원반이 큰 원반 아래에 위치할 수 없고, 한번에 한개만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규칙을 지켜가며 생각해보자.

1. 1번 기둥에 있는 가장 아래에 있는(가장 큰) 원반을 3번 기둥으로 옮겨야 한다.
이건 역으로 n개의 원반 중 n-1개만큼 2번 기둥으로 옮겨야 한다는 뜻이다.
2. 제일 큰 원반을 1번에서 3번 기둥으로 이동
3. 이제는 2번 기둥에 있는 n개 원반 중 다시 n-1개의 원반을 1번 기둥으로 이동
4. 2번 기둥에 있던 제일 큰 원번을 3번 기둥으로 이동

이걸 계속 다 쌓을 때까지 반복~
n의 개수가 1이 되면 그것만 3번 기둥으로 옮기면 되니깐 n이 1이 될 때 탈출 조건
이걸 기반으로 소스 코드로 표현해 보자.
---------------------------------------------------------------------------------

#include <stdio.h>

void HanoiTowerMove(int num, char from, char by, char to)
{
if(num==1)    // 이동할 원반의 수가 1개라면
{
printf("원반1을 %c에서 %c로 이동 \n", from, to);
}
else
{
HanoiTowerMove(num-1, from, to, by);    // 3단계 중 1단계
printf("원반%d을(를) %c에서 %c로 이동 \n", num, from, to);  // 3단계 중 2단계
HanoiTowerMove(num-1, by, from, to);    // 3단계 중 3단계
}
}


int main(void)
{
// 막대A의 원반 3개를 막대B를 경유하여 막대C로 옮기기
HanoiTowerMove(3, 'A', 'B', 'C');
return 0;
}
---------------------------------------------------------------------------------
재귀 함수를 이용하고 활용하는 것은 많은 연습과 경험이 필요할 것 같다.
기억해야 할 점은 반복 패턴을 찾고, 탈출 조건을 만드는 것이다.

그럼 오늘 공부도 여기까지~

1장 -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의 이해

지금 내가 공부하고 있는 교재는 "윤성우의 열혈 자료구조" 이다.
난 그저 복습과 요약 차원에서 글쓰는 거니깐 책을 사서 보는게 좋다.

일단 c언어가 어느정도 되는 사람이 사야할 책이다.
c언어도 잘 못하는 분이 이책을 사면 멘붕이 올 수가 있다(이건 오바인가?)

툴은 무료툴인 코드블락을 이용해서 공부 중이다.
코드블락 다운 링크 : http://www.codeblocks.org/

1. 자료구조란 무엇인가??

자료구조란?? 데이터를 표현하고 저장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크게 선형 구조와 비선형 구조로 나뉜다.
선형 구조는 자료를 표현 및 저장하는 방식이 선형이다.

선형이 뭐지?! 여자이름인가? 하는 사람은 솔로 기간이 긴.....;;

선형은 선의 형태의 약자다.
선의 형태... 즉, 자료가 일렬로 저장되어 있다는 것이다.(배열 같이)

비선형 구조는 당연 선의 형태가 아닌 일렬로 저장되어 있지 않은 구조다 (너무 당연한가 ?)

2. 알고리즘이란 무엇인가?

뜬금없이 자료구조 이야기 하다가 알고리즘이 나오는 이유는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은 서로 필요하기 때문이다.
자료구조가 데이터 저장방법을 설명한다면 알고리즘은 저장된 데이터를 활용하는 법이기 때문이다.
데이터가 어찌 저장되어 있느냐에 따라 알고리즘도 달라진다.

3. 알고리즘의 성능분석 방법

요즘은 빅데이터 시대이다.
데이터가 어~~~~~~~~~~~~ㅁ청 많다는 것이다.
이걸 얼마나 빠르고 정확하게 찾아내고 처리해줄수 있는지가 알고리즘의 성능인데.
보통 알고리즘 성능을 따질 때는 시간 복잡도와 공간 복잡도를 따진다.

시간 복잡도 - 속도가 얼마나 빠른가?
공간 복잡도 - 메모리를 얼마나 필요로 하는가??

물론 최고는 속도도 빠르고 메모리는 적게 먹는게 젤 좋은거지만 둘 중 고르라면
속도가 빠른 것을 선호하는 편이다.
공간 복잡도는 메모리가 워낙 싸서 한개 더 달면 된다 -_-;

고로 알고리즘의 성능 분석은 주로 시간 복잡도(속도)를 따질 것이다.

그럼 이제 어찌 속도를 평가할 수 있을까??
데이터를 죽어라 만들어서 초를 젤까??
뭐 그것도 나름 방법이긴 하다. 하지만 이왕이면 머리를 써보자.

어떤 데이터를 찾는다고 할 때 공통으로 들어가는게 뭘까??
당연 = 이다.(코드상으로는 == 이지만...)
내가 찾는 데이터가 같은게 있냐 없냐? 있다면 어디에 있냐?
이걸 최대한 빠르게 찾는게 목적아닌가??

그럼 = 횟수가 적을수록 좋은 알고리즘이라 할 수 있다.
이걸로 시간 복잡도를 계산할 것이다.
--------------------------------------------------------------------------------
1. 순차 탐색 알고리즘

그럼 가장 먼저 볼 알고리즘은 순차 탐색(Linear Search) 알고리즘이다.
순차 탐색이란 그야말로 처음부터 끝까지 쭈~~욱 비교해가며 찾는 것이다.(가장 단순하다)
인덱스 0 ~ 데이터 있는 최대 값까지 순차적으로 죽어라고 비교해서 찾는거다(단순 무식 과격)

기본적인 코드를 보자.
--------------------------------------------------------------------------------


#include <stdio.h>

int LSearch(int ar[], int len, int target)
{
int i;
for(i=0; i<len; i++)
{
if(ar[i]==target)
return i;    // 찾은 대상의 인덱스 값 반환
}
return -1;    // 찾지 못했음을 의미하는 값 반환
}

int main(void)
{
int arr[]={3, 5, 2, 4, 9};
int idx;

idx=LSearch(arr, sizeof(arr)/sizeof(int), 4);
if(idx==-1)
printf("탐색 실패 \n");
else
printf("타겟 저장 인덱스: %d \n", idx);

idx=LSearch(arr, sizeof(arr)/sizeof(int), 7);
if(idx==-1)
printf("탐색 실패 \n");
else
printf("타겟 저장 인덱스: %d \n", idx);

return 0;
}
--------------------------------------------------------------------------------
소스는 오렌지미디어에서 다운 받되
직접 실행 시켜가며 바꿔가며 해보자.
소스 받는 곳 : http://www.orentec.co.kr/jaryosil/DA_ST_1/add_form.php

소스가 어렵지 않으니 이해하는데 별 어려움은 없을 것이다.
순차 탐색은 데이터가 많아질수록 속도가 느려진다.
우연히 내가 찾는게 맨 처음에 있으면 젤 먼저 찾겠지만.
제일 뒤에 있다면 데이터 갯수만큼 비교해야하는 비극이 일어난다.
-------------------------------------------------------------------------------
2. 이진 탐색 알고리즘

이진 탐색 알고리즘은 데이터 위치를 절반씩 줄여가면서 비교하는 방식이다.
이 알고리즘의 필수 요소는 배열에 저장된 데이터가 "정렬"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정렬 안되어 있는 데이터에는 아무짝에도 쓸모 없는(?) 알고리즘이다.
정렬은 오름차순이던 내림차순이던 상관은 없다.

방법은 이러하다.
1)배열 인덱스의 시작과 끝을 더한다.
2) 더한 값을 2로 나눈다.
3) 나온 값의 인덱스에 있는 데이터를 찾고자 하는 값과 비교한다.
4) 찾고자 하는 값과 기준값이 같다면 한번에 찾은것이다(오오미 지리것소)
5) 찾고자 하는 값이 기준값보다 크다면 기준 인덱스의 오른쪽 배열로 넘어간다.
5-1) 찾고자 하는 값이 작다면 기준값보다 작다면 기준 인덱스의 왼쪽 배열로 넘어간다.
6) 이 짓을 찾을 때까지 한다.(아악 반복이라니)


7) 1개 남은 것까지 비교했는데도 없으면 없는거다(아오 빡쳐)
소스를 보자.
-------------------------------------------------------------------------------

#include <stdio.h>

int BSearch(int ar[], int len, int target)
{
int first=0;   // 탐색 대상의 시작 인덱스 값
int last=len-1;   // 탐색 대상의 마지막 인덱스 값
int mid;

while(first<=last)
{
mid=(first+last)/2;   // 탐색 대상의 중앙을 찾는다.

if(target==ar[mid])   // 중앙에 저장된 것이 타겟이라면
{
return mid;
}
else    // 타겟이 아니라면
{
if(target<ar[mid])
last=mid-1;   // 뒷부분을 탐색 대상에서 제외
else
first=mid+1;   // 앞부분을 탐색 대상에서 제외
}
}
return -1;   // 찾지 못했을 때 반환되는 값 -1
}

int main(void)
{
int arr[]={1, 3, 5, 7, 9};
int idx;

idx=BSearch(arr, sizeof(arr)/sizeof(int), 7);
if(idx==-1)
printf("탐색 실패 \n");
else
printf("타겟 저장 인덱스: %d \n", idx);

idx=BSearch(arr, sizeof(arr)/sizeof(int), 4);
if(idx==-1)
printf("탐색 실패 \n");
else
printf("타겟 저장 인덱스: %d \n", idx);

return 0;
}

--------------------------------------------------------------------------------
확실히 순차탐색보다는 코드가 좀 길다(이게 길다고 하면 한강으로....는 농담)
중간에 보면 -1,+1 하는 부분이 있다.
이게 뭐하는 짓이지? 왜 빼고 더하지? 생각해 보자.
mid는 기준이 되었던 인덱스가 있는 값이다.
기준이 되었던 것이 같지 않다면(같으면 그게 범인이야!!) 어차피 한번 비교한거니깐
빼거나 더해서 그 값을 배제하고 찾는 것이다.

책에는 그림도 있어서 이해가 더 쉽고 빠르지만 내가 결코 그림그리기가 귀찮아서 이러는게
아니고 책을 사서 보라는 의도...........다.
-------------------------------------------------------------------------------
3. 순차 탐색과 이진 탐색의 알고리즘의 비교

여기서 비교 하는 것은 최악의 시간을 비교하는 것이다.(즉, 다 봤는데 찾는 데이터가 없어!!)
순차 탐색은 데이터 갯수 만큼 시간이 걸릴테니 당연 젤 느리다 -_-

이진 탐색은 윗 소스를 조금 바꿔서 카운트를 셀꺼다.(물론 나도 소스 코드를 퍼오는 것이지만....;;;;)
--------------------------------------------------------------------------------

#include <stdio.h>

int BSearch(int ar[], int len, int target)
{
int first=0;
int last=len-1;
int mid;
int opCount=0;   // 비교연산의 횟수를 기록

while(first<=last)
{
mid=(first+last)/2;

if(target==ar[mid])
{
return mid;
}
else
{
if(target<ar[mid])
last=mid-1;
else
first=mid+1;
}
opCount+=1;   // 비교연산의 횟수 1 증가
}
printf("비교연산 횟수: %d \n", opCount);  // 탐색 실패 시 연산횟수 출력
return -1;
}

int main(void)
{
int arr1[500]={0,};    // 모든 요소 0으로 초기화
int arr2[5000]={0,};    // 모든 요소 0으로 초기화
int arr3[50000]={0,};    // 모든 요소 0으로 초기화
int idx;

// 저장되지 않은 정수 1을 찾으라고 명령
idx=BSearch(arr1, sizeof(arr1)/sizeof(int), 1);
if(idx==-1)
printf("탐색 실패 \n\n");
else
printf("타겟 저장 인덱스: %d \n", idx);

// 저장되지 않은 정수 2를 찾으라고 명령
idx=BSearch(arr2, sizeof(arr2)/sizeof(int), 2);
if(idx==-1)
printf("탐색 실패 \n\n");
else
printf("타겟 저장 인덱스: %d \n", idx);

// 저장되지 않은 정수 3을 찾으라고 명령
idx=BSearch(arr3, sizeof(arr3)/sizeof(int), 3);
if(idx==-1)
printf("탐색 실패 \n\n");
else
printf("타겟 저장 인덱스: %d \n", idx);

return 0;
}
--------------------------------------------------------------------------------
모든 배열에 0밖에 없는데 다른 정수를 넣어봐야 끝까지 비교하고 찾지도 못할 것이다.

순차 탐색의 비교 연산 횟수는 위와 같은 경우면 500, 5000, 50000 번 이다.(쩔어)
이진 탐색의 바교 연산 횟수는 9, 13, 16 번이다.(오오미 나 팬티 좀 갈아 입고 올께)

하지만 데이터가 정렬되어 있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0 밖에 없는 것도 정렬된거다 ㅡㅡ;;)

이와 같이 알고리즘과 자료구조는 잘 적용하는 문제지 뭐가 젤 좋고 젤 후진 건 없다.
이로써 1강 요약은 끝~



2013년 5월 7일 화요일

후~ 계획을 변경한다.

원래는 TCP/IP를 먼저 하려고 했으나
자료구조 공부가 더 우선 순위라는 생각에 자료구조로 변경하였다.
절대 가상머신으로 깐 우분투 13이 느려서가 아니다(어휴 컴터 좀 사야지 ㅠㅠ)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은 주로 유닉스/리눅스 계열에서 하는데
파티션을 할당하기엔 지금 자료의 일부를 지우고 재할당 해야해서.......;;;
컴터 살 때 하드도 하나 추가 구입해야겠다.

어째든 자료구조도 공부해볼까 한다.
학교 다니면서 다 해본 것들이지만 복습차원에서 다시 해본다.
책은 "열혈 자료구조" 이다.

2013년 3월 27일 수요일

델파이 10장, 11장

10장 보고서 작성


즉, 결과물을 인쇄하는 것인데. 현재 내가 쓰고 있는 XE3 버전에는 Fast  Report 밖에 없다.

사용법은 매우 간단하다.

DB와 테이블을 연결하고 위치만 잡아주면 끝이다.

책이 워낙 대충 설명해놔서 실습하는데 애 먹었지만 익히는데는 금방이었다.

인쇄물 틀잡는 것만 좀 해놓으면 계속 써먹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책과 내가 가지고 있는 툴이 버전이 틀린 관계로 애를 먹고 있다.

허리도 아프고, 시간도 촉박하고 델파이 공부 얼렁 끝내고 싶다 진짜 ㅡㅡ

11장 DLL 작성과 호출


DLL 은 다른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코드나 자원을 포함하는 컴파일된 모듈이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공통으로 쓰는 부분을 합쳐서 공유하게 하자는 거다.

 1.DLL 사용시 장점

  • 응용프로그램의 재 컴파일 없이 DLL을 변경하거나 프로시저 및 함수를 추가 할 수 있다.
  • 여러 개의 응용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DLL은 단일 복사본이 메모리에 올라가므로 응용 프로그램의 크기는 작아지고 메모리 사용량도 작아짐
  • DLL은 다른 언어간의 호환을 제공함. 
2.DLL 작성법

  1. File -> New -> Other에서 DLL(Dynamic_link Library)용 프로젝트를 선택
  2. DLL을 작성하기 위한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
  3. 프로그램 작성
  4. DLL 생성하기 위해 Project->Build All을 실행하면 dll이 생성된다.
3. DLL 호출
DLL을 호출하는 방법은 3가지가 있다.

  • 정적으로 가져오기
프로그램 가동시 미리 라이브러리를 로드하여 해당 프로시저나 함수를 호출하는 방법으로 메모리 효율면에서는 좋지 않음

  • 동적으로 가져오기
필요한 시점에서 라이브러리를 로드하여 해당 함수나 프로시저를 호출하고 라이브러리를 해제함
메모리 사용면에서는 효과적이나 자주 사용하는 라이브러리인 경우는 정적 로딩이 효과적일수 있음

  • 지연 방식으로 가져오기
정적 로딩과 동적 로딩의 절충형으로 델파이 2010에 추가된 기능이며 라이브러리를 미리 선언해 놓지만 호출 시에 로드하고 프로그램 종요시에 해제함


4. DLL 호출 시 주의 사항

  • 정적 로딩의 경우 라이브러리와 호출하는 응용프로그램의 경로가 다른 경우, 라이브러리의 패스를 명시해야 함
  • 정적 라이브러리인 경우 하나의 라이브러리에서 여러 개의 프로시저나 함수를 사용한다고 해도 라이브러리의 이름과 함수을 쌍으로 명시해야 함
  • 프로시저나 함수 이름은 대소문자 구분을 합니다
  • 프로시저나 함수 호출 시, 특히 언어가 다른 경우 매치되는 정확한 타입을 주어야 함


2013년 3월 22일 금요일

델파이 9장

1. Exception 처리


에러처리는 사용자들에게 덜 빡치게(?) 해주는 아주 중요한 것이다.

에러가 났을 때 고객 지원 전번을 띄어주는 업체와

걍 아무런 메세지 없이 종료되는 업체는 고객들에게 많은 생각을 가지게 해줄 것이다.

델파이에서 제공해주는 기본 에러 처리 개체 종류는

입출력/힙/정수 일치/부동 소수정 일치/타입 캐스팅/
변환/하드웨어/데이터베이스/문자와 리스트

등의 에러처리를 제공해 준다.

에러처리 블록의 기본 구문이다.

try .... finally블록

try
   statement1;
   statement2;
finally
   statement3;
   statement4;
end;

  • 오류가 발생하지 않으면 모든 문장들이 순차적으로 실행
  • 오류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바로 finally 부분의 코드로 이동하여 실행
  • 오류가 발생하던 하지 않던 finally 부분은 항상 실행
  • 주로 이 블록은 개체, 파일, 윈도우 자원 등을 보호하기 위해 구현
-------------------------------------------------------------------------------
try...except 블록

try
   statement1;
   statement2;
except
   On e:Exception Type1 Do
      statement3;
   On e:Exception Type2 Do
      statement4;
end;

  • 오류 발생 없이 코드가 수행될 경우에는 Except 문의 코드는 실행되지 않음
  • 오류가 발생하면 Except 부분으로 옮겨져서 수행
  • 오류 개체가 try...except 블록으로 들어와 처리되면 시스템은 더이상 오류 상황을 보지 않고 정상적으로 처리 함
  • 특정 타입의 Excpetion 개체를 검색하기 위하여 On... Do문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개체의 인스턴스를 사용하기 위한 임의의 변수 e를 사용할 수 있음
  • Exception 개체는 이 변수를 통해 해당 개체의 속성과 메소드에 접근할 수 있음
  • On...Do문의 어떤 것도 현재 Excpetion에 적용되지 않으면 else 부분을 제공하여 실행하도록 할 수 있음. 
  • 만일 else 부분이 제공되지 않으면 계속 바깥쪽의 try 문을 계단식으로 찾아감
  • try...except 나 try...finally 블록은 블록 내에 중첩하여 사용할 수 있음

2. Raise


오류 조건을 표시하기 위해 예약어 Raise를 사용하여 일부러 에러를 유발 시킬 수 있다.
에러를 일부러 유발시키는 경우는 주로 입력 체크나 조건 체크에 사용한다.
예) 패스워드가 3회 이상 틀렸을 때.

사용법
Raise Exception.Create('입력 오류');

3. EAbort Exception


델파이에는 조용한 에러처리로 불리는 특별한 Exception 클래스가 있다.
이를 Silent Exception이 발생했다고 한다.
Exception과 방식은 동일하지만 대화 상자가 나타나지 않는다.

Raise EAbort Create('보이지 않는 메세지');


내용은 더 있는데.........
쓰기가 힘들다 ㅡㅡ;; 감기도 걸리고 허리도 아프고 ㅠㅠ
아아 오랜만에 맘먹고 공부하는데 태클이 ㅠㅠ

델파이 8장

8장은 필드 에디터 이다.

1. 필드 개체

델파이는 db 테이블의 각 필드 타입과 크기에 맞는 독립적인 하나의 필드 개체들을 자동으로 만들어 준다.
이런 필드 개체는 실행되는 동안에만 사용할 수 있지만 디자인 타임에도 필드 에디터를 이용하여 필드 개체를 만들 수 있다.
필드에 대해서 제어하는 것이 필드 에디터 이다.

하........... 델파이 버그가 너무 심하다.......

예제 소스에 있는 것을 그대로 컴파일하고 실행 시켰는데.

에러가 생기더니 마우스가 서버린다.

뭐 이런게 다 있지?? 내가 델파이를 공부하긴 하지만 정말 버그도 많고 개판이다.

진짜 취업만 아니면 때려치고 싶은 델파이다.

어쩌면 이글을 마지막으로 델파이는 않쓸지도 모르겠다....

델파이 공부 끝나면 그 때나 다시 요약해서 올리겠다.

끝~

델파이 7장

7장은 BDE를 사용한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 이다.
분량이 꽤 길고 오류도 많고, 내가 몸상태도 영 시원찮아서 이제야 마치고 쓴다 ㅡㅡ;;
프로그램 개발 과정은 너무 기니 패스하고 요약만 하겠다

소스코드 링크가 없어졌다 ㅡ.ㅡ;;; 이건 찾으면 다시 업뎃하겠다....;;;
그나마 소스코드 다운 받아놔서 다행이넹~

이건 뭐 내용이 너무 기니 책을 보고, 그대로 따라하며 배우라고 밖에 할 수 없다 ㅡㅡ;;

간단한 프로그램을 만들어보니 DB 연결도 몹시 쉽고 (DB목록에서 선택만 하면 된다.)

쿼리문을 변수에 넣어서 처리하는 방식이다 보니

쿼리문이 바뀌면 바뀌는 쿼리문만 바꿔서 넣어서 하면 되기에 프로그램을 많이 수정할 필요가 없다.

물론 소스코드에 쿼리문을 직접 넣는 개발자는 하수다 -_-

책에는 엑셀 컴포넌트가 있지만 내가 설치한 xe3에는

엑셀관련 컴포넌트가 없어서 해보질 못해서 좀 아쉬웠다.

아주 조금이지만 DB를 이용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봤다~





2013년 3월 19일 화요일

델파이 6장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 개요.


1. 데이터베이스란?

방대한 양의 데이터 저장, 관리 및 사용을 위한 시스템,
데이터 베이스는 한개 이상의 테이블로 구성되어 있음.
테이블은 행과 열로 구성되는 2차원 구조의 집합체 입니다.
데이터베이스에서는 행을 레코드, 열을 필드라고 함.

레코드는 정보를 표현하는 기본 단위로서 관련 있는
여러 필드가 모여서 하나의 레코드를 구성함
레코드와 필드를 합친 것을 테이블이라고 하고,
이 테이블을 모아 놓은 자료가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베이스는 로컬 데이터베이스/리모트 데이터베이스 2가지가 있음.
로컬 데이터베이스는 개인 또는 복수 사용자를 위한 것이고
리모트 데이터베이스는 다중 사용자를 위한 것

2.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 Primary Key

한 레코드를 다른 레코드와 구별해주는 컬럼이나 필드를 기본키라고 한다.
기본키가 되기 위해서는 각 레코드에 대해 유일한 값이어야 하고 NULL 값이 아니어야 함

  • Foreign Key
다른 테이블과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키를 의미한다. 한 테이블에서 기본키가 되는 필드가 다른 테이블의 참조키로 사용될 수 있음.

  • 인덱스
테이블에 대한 보다 빠른 접근이나 효과적인 정렬 작업을 위해 테이블 내의 필드 값들을 기본적으로 하여 물리적으로 만들어 두는 것.
모든 기본키는 인덱스로 생성되어 있음.

  • 트랜젝션
여러개의 데이터베이스 연산들을 하나로 묶는 것을 의미하며 묶인 모든 연산들이 제대로 실행되면 데이터데이스에 변경된 내용기 기록되고(Commit), 한 연산이라도 실패하면 원래대로 돌아감(RollBack).

  • 저장프로시저
저장 프로시저는 여러분 수행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베이스 연산들을 프로시저 형태로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컴파일하여 저장해 두는 것,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작성하는 방법이 다름

3. SQL이란?

데이터베이스의 자료를 이용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 테이블을 생성하고, 생성된 테이블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SQL을 사용함.
델파이에서는 어떠한 데이터베이스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표준 SQL을 사용함

4. 델파이와 데이터베이스 연결 유형

로컬 구조 (Single-tiered)
클라이언트/서버구조

1. BDE를 이용한 연결 
 2. ADO를 이용한 연결
 3. DBExpress를 이용한 연결
분산구조
1. BDE를 이용한 멀티-티어구조
 2. ADO를 이용한 멀티-구조

3. DBExpress를 이용한 멀티-티어구조

보면 별로 바뀐 부분이 없다 ㅡ.ㅡ;;
내일부터는 본격적으로 DB를 이용해서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자~

2013년 3월 17일 일요일

델파이 5장

5장은 디버깅 사용하기 다.

디버깅이란?
소스 코드를 잘못 작성하여 프로그램의 실행 중에 발생하는 에러들을 찾아내고 바로 잡는 일

1. 디버그 정보 설정

Tools 메뉴에서 Options을 선택한 후 Debugger Option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옵션들이 표시된다.
-디버그 정보를 프로젝트 별로 이용하려면 Project->Options->Compiler를 선탤하여 디버그 정보를 포함하도록 설정
-디버그를 활성화 하려면 Debugging Option에서 Integrated debugging에 체크

2. 기본적인 디버깅 방법

-프로그램 실행 중 오류가 의심스러운 부분의 실행을 중단하기 위해 Break Point를 설정
-설정방법
1.Break Point를 생성하기 원하는 문장의 왼쪽 끝을 커서를 놓고 클릭, 또는 f5 키를 누름
2. Run -> Add Breakpoint 메뉴를 이용하여 Break point를 편집

Watch 설정
어떤 변수 값의 변화를 살표보기 위해 지정하는 것.
Run -> Add Watch 메뉴를 선택하면 확인하고 싶은 변수들을 지정할 수 있음.

디버깅은 경험이기 때문에 여기에 쓰기엔 부족하다

다음에는 파트 2로 넘어가는데.
파트 2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프로그래밍 하기다.
4장,5장은 짧아서 걍 하루에 다 썼다 ㅡ.ㅡ;
자격증 공부를 더 할 수 있을 듯~


델파이 4장

델파이 4장 제목은 컴포넌트 라이브러리와 패키지다.


1. 컴포넌트 라이브러리


계층 구조는 아래와 같다.
1.TObject
델파이의 모든 VCL 클래스들은 TObject 클래스로부터 상속됩니다. 모든 클래스의 공통적인 특성과 기능들을 가지고 있음.

2. TPersistent
저장과 읽기를 담당하는 클래스다.
이 클래스는 상속받은 모든 클래스들을 자신의 상태 정보를 필요할 때 마다 저장하고 다시 불러올 수 있게 됩니다.

3. TComponent
-툴 팔레트에 설치되는 기능
-디자인 타임에 마우스를 이용하여 폼에 추가되는 기능
-오브젝트 인스펙터를 통해 속성이 설정되는 기능

4. TControl
모든 시각적인 컴포넌트들의 선조 클래스

5. TGraphicControl
시각적인 컴포넌트이기는 하지만 입력 포커스를 받지 못하는 컴포넌트의 선조 클래스.
예)TImage, TLabel 등

6. TWincontrol
입력 포커를를 받을 수 있는 선조 클래스
예)TEdit, TCombobox 등

7. Exception
에러 상황들마다 클래스를 미리 정의해 놓고 구조적으로 에러 처리를 할 수 있게 해줌.
예외 클래스의 가장 선조가 되는 클래스
--------------------------------------------------------------------------------

2. 패키지란?

패키지는 델파이의 IDE와 델파이로 만드는 프로그램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일종의 특화된 DLL이다.
DLL이란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어떤 특정 기능들 만을 컴파일 해둔 것.
패키지란 텔파이에 맞게 컴파일된 DLL 이다.
패키지는 DLL과 유사하지만 다른점도 있다.
DLL은 실행했을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지만 패키지는 디자인 타임에도 사용할 수 있다.

- 런타임 패키지: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기능을 제공하는 패키지
- 디자인 타임 패키지:컴포넌트를 만들거나 IDE에 컴포넌트를 설치할 때 사용하는 패키지


패키지 사용시 장점

  • 런타임 패키지는 응용프로그램 내의 코드의 중복을 제거하므로 프로그램 사이즈가 감소
  • 시스템 리소스와 하드 공간을 절약할 수 있음
  • 패키지를 이용하면 공통 코드는 빼고 프로그램을 컴파일 하기 때문에 보다 빨리 컴파일 할 수 있음
  • 디자인 타임 패키지는 컴포넌트를 배포하고 설치하는 일을 산순화 해줌



2013년 3월 15일 금요일

델파이 3장 - 2

동영상 재생기를 만들어 보겠다.
많은 삽질 끝에 성공했다 -_-
먼저 폼을 만들어 보자.
아래와 같이 만들자.



  1. 패널 3개를 넣고 Align 속성을 altop, alClient, alBottom 으로 나눈다.
  2. TStatusBar 컴포넌트 넣고, 팝업메뉴에서 Panel Editor를 선택하고 1개 추가한다.
  3. 버튼 2개를 넣고 각각 Open, Exit 로 속성을 변경한다.
  4. TMediaPlayer 컴포넌트를 패널1에 넣고, 속성은 Display는 Panel2로 설정
  5. TTrackBar컴포넌트를 패널2에 넣고 속성은 Align은 alBottom으로 설정
  6. 패널3에 라벨를 넣고 위 그림과 같이 Caption 속성을 입력한다.
  7. 패널3에 패널 하나 더 넣고 BevelOuter를 bvLowered로 지정한다.
  8. TOpenDialog와 TTimer컴포넌트를 넣는다.
아래는 완성된 코드다.
---------------------------------------------------------------------------------

unit UVideo;

interface

uses
  Winapi.Windows, Winapi.Messages, System.SysUtils, System.Variants, System.Classes, Vcl.Graphics,
  Vcl.Controls, Vcl.Forms, Vcl.Dialogs, Vcl.ExtCtrls, Vcl.ComCtrls,
  Vcl.StdCtrls, Vcl.MPlayer, Vcl.Buttons;

type
  TForm1 = class(TForm)
    Panel1: TPanel;
    BitBtn1: TBitBtn;
    BitBtn2: TBitBtn;
    MediaPlayer1: TMediaPlayer;
    Panel2: TPanel;
    Panel3: TPanel;
    TrackBar1: TTrackBar;
    StatusBar1: TStatusBar;
    Label1: TLabel;
    Label2: TLabel;
    Label3: TLabel;
    Label4: TLabel;
    mPlayFrame: TLabel;
    mTotalFrame: TLabel;
    mTime00: TLabel;
    mTime01: TLabel;
    mFileName: TPanel;
    OpenDialog1: TOpenDialog;
    Timer1: TTimer;
    procedure FormCreate(Sender: TObject);
    procedure Timer1Timer(Sender: TObject);
    procedure BitBtn1Click(Sender: TObject);
    procedure BitBtn2Click(Sender: TObject);
    procedure MediaPlayer1Click(Sender: TObject; Button: TMPBtnType;
      var DoDefault: Boolean);
    procedure MediaPlayer1Notify(Sender: TObject);
  private
    { Private declarations }
  public
    { Public declarations }
  end;

var
  Form1: TForm1;

implementation

{$R *.dfm}

procedure TForm1.BitBtn1Click(Sender: TObject);
var
  h,m,s,ss : integer;
begin
  if OpenDialog1.Execute then
  begin
    //열기 대화 상자에서 선택한 동영상 파일을 미디어 플레이어의 FileName 속성에 대입하여 연결
    MediaPlayer1.FileName := OpenDialog1.FileName;
    //경로명과 파일명을 가지고 있는 문자열에서 파일명과 확장자명만을 축출하는 함수
    mFileName.Caption := ExtractFileName(OpenDialog1.FileName);
    //재생할 동영상을 연결
    Mediaplayer1.Open;
    mediaPlayer1.TimeFormat := tfFrames;
    //전체 프레임 수를 표시
    TrackBar1.Max := MediaPlayer1.Length;
    //현재 재생 위치를 표시
    TrackBar1.Position := MediaPlayer1.Position;
    mTotalFrame.Caption := FormatFloat('##,###,###,###,##0',MediaPlayer1.Length);
    mPlayFrame.Caption := FormatFloat('##,###,###,###,##0',MediaPlayer1.Position);
    MediaPlayer1.TimeFormat := tfMilliseconds;
    ss := MediaPlayer1.Length div 1000;
    s := ss mod 60;
    m := ss div 60;
    h := m div 60;
    m := m mod 60;
    mTime00.Caption := FormatFloat('00:00:00',0);
    mTime01.Caption := FormatFloat('00',h)+':'+FormatFloat('00',m)+':'+FormatFloat('00',s);
  end;
end;

procedure TForm1.BitBtn2Click(Sender: TObject);
begin
  Application.Terminate;
end;

procedure TForm1.FormCreate(Sender: TObject);
begin
  OpenDialog1.Filter := 'Avi Files|*.avi|MPEG Files|*.mpg|All Files|*.*';
  mPlayFrame.Caption := '0';
  mTotalFrame.Caption := '0';
  mTime00.Caption := '00:00:00';
  mTime01.Caption := '00:00:00';
end;

procedure TForm1.MediaPlayer1Click(Sender: TObject; Button: TMPBtnType;
  var DoDefault: Boolean);
begin
  case Button of
    btPlay: begin
              Timer1.Enabled := true;
              StatusBar1.Panels[0].Text := '재생';
            end;
    btPause: StatusBar1.Panels[0].Text := '잠시멈춤';
    btStop: StatusBar1.Panels[0].Text := '재생중지';
    btNext: StatusBar1.Panels[0].Text := '다음';
    btPrev: StatusBar1.Panels[0].Text := '이전';
    btStep: StatusBar1.Panels[0].Text := '앞으로';
    btBack: StatusBar1.Panels[0].Text := '뒤로';
  end;
end;

procedure TForm1.MediaPlayer1Notify(Sender: TObject);
begin
  if (MediaPlayer1.NotifyValue = nvSuccessful) and (MediaPlayer1.Mode = mpStopped) then
    StatusBar1.Panels[0].Text := '재생완료';
  if MediaPlayer1.Mode = mPStopped then
    StatusBar1.Panels[0].Text := '재생중지';
end;

procedure TForm1.Timer1Timer(Sender: TObject);
var
  h,m,s,ss : integer;
begin
  MediaPlayer1.TimeFormat := tfFrames;
  mPlayFrame.Caption := FormatFloat('##,###,###,###,##0',MediaPlayer1.Position);
  TrackBar1.Position := MediaPlayer1.Position;
  MediaPlayer1.TimeFormat := tfMilliseconds;
  ss := MediaPlayer1.Position div 1000;
  s := ss mod 60;
  m := ss div 60;
  h := m div 60;
  m := m mod 60;
  mTime00.Caption := FormatFloat('00',h)+':'+FormatFloat('00', m)+ ':' + FormatFloat('00',s);
  Timer1.Enabled := true;
end;

end.

---------------------------------------------------------------------------------
역시 빨강 부분은 폼을 완성하면서 자동으로 추가된 코드고
주황 부분이 직접 넣어야 하는 부분이다.
실행해보니 코덱의 문제인지 소리만 나는 영상도 있고, 나오는 영상도 있고, 안나오는 영상도 있다 ㅡㅡ;;
어째든 이번 장도 끝~ ㅎㅎ;; ㅌㅌㅌ



델파이 3장 - 1

3장 제목은 컴포넌트와 친해지기 이다.
그 중 이번에는 그림판을 만들 것이다.
그 전에 컴포넌트가 뭐로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보자.

  • 프로퍼티(Propperty)
응용프로그램에서 컴포넌트가 표시되고 제어되는 방법에 대한 제어 요소, 컴포넌트의 속성을 의미함. (예)색상, 글씨체, 크기 등등

  • 이벤트(Event)
컴포넌트가 인식할 수 있는 사용자 행의 혹은 시스템 동작. (예)클릭, 더블클릭, 키보드입력

  • 메소드(Method)
컴포넌트 안에 정의되어 있는 프로시저나 함수를 말함.
---------------------------------------------------------------------------------
먼저 아래와 같이 폼을 만들자.

델파이는 컴포넌트가 너무 많아서 검색 기능을 잘 활용해야한다.

오른쪽 위에 있는 컴포넌트는 TColorGrid이다.
오른쪽 아래에 있는 컴포넌트는 TListBox다. (T는 왜 다 붙는거야 ㅡ.ㅡ)
큰 점선의 직사각형은 TImage 다.
위에 메뉴는 TMainMenu 다.

리스트 박스는 Items를 누르고 1~9까지 입력한다.
메인메뉴에는 Clear, Open, Save As, Exit를 입력한다.

폼이 완성 되었으면 코딩을 하자. 아래는 전체 소스다.
---------------------------------------------------------------------------------

unit UImageEditor;

interface

uses
  Winapi.Windows, Winapi.Messages, System.SysUtils, System.Variants, System.Classes, Vcl.Graphics,
  Vcl.Controls, Vcl.Forms, Vcl.Dialogs, Vcl.StdCtrls, Vcl.ColorGrd,
  Vcl.ExtCtrls, Vcl.Menus;

type
  TForm1 = class(TForm)
    MainMenu1: TMainMenu;
    File1: TMenuItem;
    Clear1: TMenuItem;
    Open1: TMenuItem;
    SaveAs1: TMenuItem;
    Exit1: TMenuItem;
    Image1: TImage;
    ColorGrid1: TColorGrid;
    ListBox1: TListBox;
    procedure Clear1Click(Sender: TObject);
    procedure Open1Click(Sender: TObject);
    procedure SaveAs1Click(Sender: TObject);
    procedure Exit1Click(Sender: TObject);
    procedure FormCreate(Sender: TObject);
    procedure Image1MouseDown(Sender: TObject; Button: TMouseButton;
      Shift: TShiftState; X, Y: Integer);
    procedure Image1MouseMove(Sender: TObject; Shift: TShiftState; X,
      Y: Integer);
  private
    { Private declarations }
  public
    { Public declarations }
  end;

var
  Form1: TForm1;

implementation

{$R *.dfm}

procedure TForm1.Clear1Click(Sender: TObject);
begin
  Image1.Picture.Bitmap.Assign(Nil);
  FormCreate(Self);
end;

procedure TForm1.Exit1Click(Sender: TObject);
begin
  Close;
end;

procedure TForm1.FormCreate(Sender: TObject);
begin
  Image1.Picture.Bitmap.Width := Image1.Width;
  Image1.Picture.Bitmap.Height := Image1.Height;
  ListBox1.ItemIndex := 0;
end;

procedure TForm1.Image1MouseDown(Sender: TObject; Button: TMouseButton;
  Shift: TShiftState; X, Y: Integer);
begin
  //마우스의 움직임에 따라 캔버스에 그림이 그려짐
  Image1.Picture.Bitmap.Canvas.MoveTo(X,Y);
end;

procedure TForm1.Image1MouseMove(Sender: TObject; Shift: TShiftState; X,
  Y: Integer);
begin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그림을 그림니다.
  if Shift = [sSleft] then //[sSleft], [sSright], [sSAlt], [sSCtrl]등 원하는 키를 설정
  begin
    //펜 굵기 지정 ListBox에서 선택한 크기 만큼 굵기가 변함
    Image1.Picture.Bitmap.Canvas.Pen.Width := StrToInt(ListBox1.Items [ListBox1.ItemIndex]);
    //펜의 색상 지정: ColorGrid에서 선택된 색상으로 변함
    Image1.Picture.Bitmap.Canvas.Pen.Color := ColorGrid1.ForegroundColor;
    //캔버스에 그려진 라인에 따라 Image1 화면에 나타납니다.
    Image1.Picture.Bitmap.Canvas.LineTo(X,Y);
  end;
end;

procedure TForm1.Open1Click(Sender: TObject);
var
  OD:TOpenDialog;
begin
  OD := TOpenDialog.Create(Self);
  OD.Filter := 'Bitmap Files(*.bmp)|*.bmp';
  if OD.Execute then
    Image1.Picture.Bitmap.LoadFromFile(OD.FileName);
  OD.Free;
end;

procedure TForm1.SaveAs1Click(Sender: TObject);
var
  SD:TSaveDialog;
begin
  SD := TSaveDialog.Create(Self);
  SD.Filter := 'Bitmap Files(*.bmp)|*.bmp';
  if SD.Execute then
    Image1.Picture.Bitmap.SaveToFile(SD.FileName);
  Sd.Free;
end;

end.
---------------------------------------------------------------------------------
이걸 설마 다 키보드로 입력하는 호구(?!)는 없을 것이다.
begin ~ end; 안에만 치는거다.(물론 이벤트 안에서 변수를 선언할 때도 있다)
주황색 부분은 앞에서 폼을 만들면서 자동으로 추가된 코드다.
그 아래 부분은 이벤트를 추가하면서 추가된 코드들이다.
빨간 부분만 코딩하면 프로그램이 원활하게 돌아간다. 
와우~ 신기하지 아니한가?(아님말고 -_-)
F9를 누르면 컴파일하고 실행이 된다. 
다음 시간에는 동영상 재생기를 만들어 보겠다.

2013년 3월 14일 목요일

델파이 2장

델파이 1장과 2장은 페이지수가 꽤 된다 -_- 그래서 여러개로 나누어서 올려야 할 꺼 같다.
2장 주제는 폼의 특성과 화면 띄우기 이다.

솔직히 이걸 하나한 캡쳐해서 올리기엔 너무 빡쎄다 -_-
책을 보고 하면 되기에 ( --);;;

먼저 전체 소스코드를 받을 수 있는 곳을 알려주겠당~

http://tech.devgear.co.kr/devgearbook/2435

1. 메모리 해체 관련한 폼의 종류 (Auto Create 폼, Available 폼)


*Auto Create 폼 - 기본적으로 설정되어있는 메모리 해제를 신경 안쓰는 폼

*Available 폼 - 사용자가 필요한 시점에 동적으로 메모리에 로드하고 사용이 끝나면 메머리를 해제하는 방법을 택할 수 있는 폼

폼을 동적으로 생성하고 해제하기 위해서는 먼저 Available 폼으로 바꿔야 한다.
바꾸는 법은 Project -> Option 메뉴에서 Forms 항목에 있다.

2. 폼이 나타나는 방식에 따른 폼의 종류(Modal, Modeless)


* Modal 폼 - 다른 윈도우를 사용할수 없도록 화면의 맨 위에 활성화 되는 폼
(예 - 로그인 창, 옵션 창)

*Modeless 폼 - 폼이 생성되어 나타나도 여전히 다른 폼을 사용할 수 있는 폼
(예 - 시계, 인터넷창 등등)

-Modal 예제-


procedure TForm1.Button12Click(Sender: TObject);
begin
  Form3 := TForm3.Create(Application);
  if Form3.ShowModal = mrOk then
    Caption := FormatDatetime('yyyy-mmmm-dd hh:nn:ss', Form3.DateTimePicker1.Date);
  Form3.Free;
end;

주황색 부분이 모달로 띄우겠다는 뜻이다.
아래는 달력을 띄우는 것임 ㅡ.ㅡ;; 자세한건 소스를 다운 받아서...........

-Modeless 예제-


procedure TForm1.Button13Click(Sender: TObject);
var
  I : Word;
begin
  for I := 0 to Application.ComponentCount - 1 do
  begin
    if Application.Components[I] is TForm2 then
    begin
      (Application.Components[I] as TForm).Show;
      Exit;
    end;
  end;

  Form2 := TForm2.Create(Application);
  Caption := IntToStr(Application.ComponentCount);
  Form2.Show;

end;

주황색 부분은 버튼을 누를 때마다 창이 뜨는 것을 방지해준다. 오로지 1개만 뜸.


빨간색 부분이 Modeless로 띄우는 부분이다.

Modeless는 메모리 해제를 내가 해줘야 한다.(귀찮게시리 ㅡㅡ)
Form2가 Modeless 폼이라면 닫을 때 메모리 해제를 해주어야 한다.


procedure TForm2.FormClose(Sender: TObject; var Action: TCloseAction);
begin
  Action := caFree; //메모리 해제
end;

3. Close 할 때 어떻게 Close 할 껀지 결정해주긔~


caNone : 폼을 Close 하지 않음. 아무런 변화가 없음(뭐하러 있는거임? ㅡㅡ?)
caHide : 폼을 닫지 한고 숨김.
caFree : 폼이 닫히고 메모리에서 해제함.(바로 위에 사용했제?)
caMinimzed : 폼을 최소화 함.

프로그램이 끝나기 전에 Action 변수에 위에 것을 넣어줘야 함.

4. Is 연산자와 As 연산자


* is 연산자 : 개체 유형 체크 연산자

개체의 실제 런타임 클래스를 확인하는데 사용.

var
H : Thourly;
...
if H is Thourly then

이 연산자는 H라는 오브젝트가 Thourly 클래스나 그 자손 클래스의 인서턴스인 경우 True를 리턴하고 아니면 False를 리턴함.

* as 연산자 : 확인된 타입 캐스트 연산자

Procedure Button1Click(Sender:Tobject);
begin
   (sender As TButton).Caption := 'ok';
end;

위 예문에서 sender은 TObject 타입이므로 Caption 속성에 접근할 수 없으므로 As 연산자를 사용하여 타입캐스트 하여 Caption 속성에 접근함.

5. 폼의 초기처리/ 마감처리를 위한 이벤트

  • OnCreate 이벤트 - 폼이 생성될 때 발생하는 이벤트. 주로 화면의 초기처리 작업을 위한 이벤트로 사용
  • OnShow 이벤트 - 폼이 표시될 때 발생하는 이벤트.
  • OnActivate 이벤트 - 폼에 포커스가 넘어와 활성화 될 때 발생하는 이벤트.
  • On Deactive 이벤트 - 폼이 비활성화될 때 발생하는 이벤트
  • OnCloseQuery 이벤트 - OnClose 이벤트 발생전에 윈도우에 Close 되는지 확인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이벤트
  • OnClose 이벤트 - 폼을 닫을 때 발생하는 이벤트로 화면의 마무리 처리를 위한 이벤트로 사용
  • OnDestroy 이벤트 - 폼이 해제될 때 발생하는 이벤트 

여기까지 대충(정말 대충-_-)2장을 요약해봤다.(그래도 난 코딩하며 공부했다규!!)
소스 코드를 여기에 올리기엔 분량도 많으니 위에 소개한 소스코드를 다운 받아서 해보길 바란다.
델파이는 프로그램을 만드는데 정말 간단하게 만들수 있는 것 같다.
정말 많은 컴포넌트를 제공하고, 왠만한 기본 메뉴 정도는 다 만들어져 있다.
우리가 할일은 배치하고, 연결하고, 이쁘게 포장만 해도 왠만한 프로그램이 만들어진다.
물론 없는 것은 개발자가 직접 만들어야 하지만....
정말 빠른 시간에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는 것이 델파이의 장점인것 같다.

3장은 그림판과 동영상 프로그램을 작성해볼껀데.
이건 하나하나 캡쳐해서 올려보겠다.(오오미)

2013년 3월 13일 수요일

델파이 1장 - 2

oop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 대해 살펴 보겠다.
객체 지향이 어쩌구 하는건 OOAD에 설명해놨으니 그거 보라능(내가 귀찮아서 이럼)

먼저 클래스란?
클래스는 속성과 행위를 갖는 레코드형과 비슷한 일종의 자료형이다.
클래스 형으로 정의한 변수는 그 자체가 개체가 되는 것이 아니라
메모리에 자리 잡기 위해서는 인스턴스 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이를 생성이라고 한다.

델파이에서 클래스 선언
type
   클래스 이름 = class (부모클래스)
   멤버 선언
end;

부모클래스를 생략하면 TObject를 계승 받는다.

sealed로 표시된 클래스는 상속이 불가능 하다
--------------------------------------------------------------

  • 생성자란?

개체를 생성하고 초기화 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루틴
오브젝트가 생성되기 전에 호출되기 때문에 클래스 이름으로 지정해서 호출
Constructor 로 시작하는 프로시저임.

생성자 작성법
Constructor TMyobj.Create; //TMyobj가 클래스명
Constructor TCompoent.Create(AOwner:TCompoent); //TCompoent가 클래스명


  • 파괴자란?

생성자와 반대로 작업을 정리하고 메모리를 해제하는 기능을 수행
Destructor 로 시작하는 프로시저

파괴자 작성법
Destructor TMyobj.Destroy; //TMyobj는 클래스명


  • Free
할당된 개체의 인스턴스를 체크하여 내부적으로 Destroy를 부르는 루틴
Myobj.Free;
--------------------------------------------------------------------------

상속

상속이란?
기존의 클래스를 기반으로 새로운 클래스를 정의하는 것.
이것은 귀찮으니 만든 코드로 설명하겠음 -_-;
----------------------------------------------------------------------------


unit Unit6;

interface
type
TPerson = class(TObject)  //TObject 상속받은 TPerson 클래스 생성
  private //오직 이 클래스에서만 사용
    ttt : String;
  public //다음의 내용은 다른 클래스에서도 사용
    Name : String;
    Age : byte;
    Address : String;
    Constructor Create; virtual; //create의 내용을 상속하여 사용
    function Getname : String;
end;

TEmp = class(TPerson)
public
  office : String;
  Empno : Integer;
  Baserate : real;
  Constructor Create; override; //create를 상속받아 재사용
  function Salary : real; virtual; abstract; //salary 함수 재사용
end;

THourly = class(TEmp)
  Hrs : Integer;
  Constructor Create; override; //create를 재정의하여 사용
  function Salary : real; override; //salary를 재정의하여 사용
end;

TSalary = class(TEmp)
  Salesamt : real;
  Commissionrate : real;
  Constructor Create; override;
  function Salary : real; override;
end;

implementation

{ TPerson }
//사원 정보 입력
constructor TPerson.Create;
begin
  Name := 'Kim';
  Age := 20;
  Address := 'Anywhere';
end;

//사원 이름을 호출하는 함수
function TPerson.Getname: String;
begin
  Result := Name;
end;

{ TEmp }

constructor TEmp.Create; //TPerson에서 정의한 Create를 상속받음
begin
  inherited; //부모클래스의 메소드를 호출하라는 예약어.
  office := 'bbk';
  Empno := 1;
  Baserate := 10;
end;

{ THourly }

constructor THourly.Create;
begin
  inherited;
  Hrs := 10;
end;

function THourly.Salary: real;
begin
  Result := Baserate * Hrs;
end;

{ TSalary }

constructor TSalary.Create;
begin
  inherited;
  Commissionrate := 1;
  Salesamt := 5;
end;

function TSalary.Salary: real;
begin
  result := (Salesamt * Commissionrate) + (Baserate + 40.0);
end;

end.
---------------------------------------------------------------
흐미 이게 뭔소리당가? 한다면 걍 답답할 뿐이다.
설명을 하자면.

TObject -> TPerson -> Temployee -> TSalary
                                                    -> THourly

로 상속을 받은 것이다.

먼저 interface 안에서 클래스를 생성하고 컨트롤 + 시프트 + C를 누르면
implementation 아래에 자동으로 틀이 만들어진다.
설마 이걸 하나하나 친 사람은 없겠지? >.<;
만들어진 틀 안에 코딩하면 된다.
inherited 라는게 있는데 이건 부모 클래스의 해당 이름으로 된 메소드를 호출에서 쓰겠다는 것이다.
친절하게 곳곳에 주석도 달았으니 알아서 보길 바란다.(어차피 보는 사람도 적은데 츤츤)

다음에는 컴포넌트를 사용해서 간단하게 만들어 보겠다~
다음이래봐야 잠깐 쉬고 쓸꺼다 -_-
길면 읽지를 않으니 원.

2013년 3월 12일 화요일

델파이 1장 - 1

델파이는 c언어와 비슷하면서도 약간 다르다.
다른 부분만 다루어 보겠다~(내가 귀찮아서 이러는게 아니다)

전체적인 구조
---------------------------------------------------------

unit 유닛이름;

interface  (전역변수)

implementation (지역변수)

Initialization  (생성자)

Finalization  (파괴자)

end. (프로그램 끝)
  • interface - 모든 프로그램 또는 다른 유닛에서도 함께 사용할 수 있다(전역변수)
  • implementation - 선언된 현재 유닛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지역변수)
  • Initialization - 초기처리를 위한 공간. interface에 정의된 데이터 구조의 초기화 및 필요한 자원 할당을 위한 문장을 기술함(생성자)
  • Finalization - Initialization에서 할당된 프로그램에서 사용했던 자원을 되돌리는 문장을 기술함 (파괴자)
----------------------------------------------------------
초간단 문법 설명!!

주석은 //, {}, (**) 를 사용한다.
; 는 코드 한줄의 끝
. 은 프로그램의 끝 (가장 끝에 end.라고 되어 있다.)
begin end; 는 한 쌍으로 사용한다.(c언어에서 {}에 해당한다. - 열라 귀찮게 ㅡㅡ)
:= 오른쪽에 있는 어떤 값을 왼쪽에 저장할 때 사용(a := Integer) 

변수 선언 방법
var
  x, y : integer;   //같은 형이면 ,로 쓸수 있다.
  p : ^integer;     //^는 포인터의 주소가 가르키는 값이다.
begin
  x := 17;
  y := 0;
  p := @x;  //@연산자는 포인터 변수에게 주소를 넘기는 연산자(x의 주소를 알려달랑께)
  y := p^;   //^포인터의 주소가 가르키는 값(p의 주소 안에 있는 값을 내놓으랑께)
end; 

---------------------------------------------------------------
배열 선언

예)
배열명 = array[배열요소수, 배열요소수] of 자료형;

예제) 
unit 유닛명;

interface
//0~2까지의 공간을 가지는 정적인 배열을 지정
type
   Country = array[0..2] of string;
var
   i:integer;
  s:string;
  Countries : Country;

implementation
initialization
//할당된 정적 배열 Countries에 초기값을 할당
begin
  Countries[0] := 'Korea';
  Countries[1] := 'Japan';
  Countries[2] := 'Etc';
end;
end.
---------------------------------------------------------------
레코드 형 선언(구조체)
  • 다양한 자료형을 연속된 기억 공간에 보관
  • 모든 레코드 요소는 다른 자료형을 가질수 있음
  • 크기가 서로 다른 자료형의 레코드 멤버가 연속된 기억 공간을 사용
레코드 형 = Record
   필드명 : 자료형;
   필드명 : 자료형;
end;
-----------------------------------------------------------------
프로시저
  • 프로그램을 기능별로 분리하여 코딩을 더욱 간편하게 함
  • 프로시저 선언이란 유닛의 Type 부분에 프로시저 원형을 적어주는 것
  • 프로시저 선언은 유닛의 interface 부분에 선언
procedure 프로시저 이름 (<매개변수이름>:<매개변수타입>,<매개변수타입:매개변수타입>);

예제)
procedure clear (var A : array of Double);
var 
   i : Integer;
begin
   for i := 0 to High(A) do A[i] := 0;
end;
-----------------------------------------------------------------
함수
  • 리터럴(C언어의 return)값을 반환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기본적으로 프로시저와 같음
  • 함수도 프로시저와 마찬가지로 먼저 선언해야함
  • Function 예약어 사용
  • 반환값은 지시어 Result를 사용하여 반환
function 함수명 (매개변수이름:매개변수타입):반환타입;
const 
   상수명 = 리터럴값;
var
   변수명 : 자료형;
begin
   statement1;
   statement2;
end;

예제)
function Add(x,y: integer):integer;
begin
   Result := x + y;
end;
-----------------------------------------------------------------
매개변수 전달 방식
1. Call by Value
변수를 값으로 전달하는 방식. 컴파일러는 값을 복사하여 원래의 값이 아닌 복사한 값을 전달 함 루틴 안에서 변수값을 변경할 수 있음
procedure Add(x,y : integer);

2. Call by Reference
변수의 메모리 위치를 프로시저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프로시저는 해당 메모리 위치의 내용을 변경할 수 있음.
procedure Add(Var Rec:String);

3. Call by Const
상수로 매개변수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프로시저 내에서 변수 값은 변경할 수 없고, 참조만 가능
procedure Add(Const x,y : integer);

4. 출력 파라미터
Out 파라미터는 참조에 의해 전달되는 방식. Out 파라미터는 출력용으로만 사용.
procedure Add(Out a : String);
---------------------------------------------------------------------
Overload 루틴
  • 하나의 유닛에는 같은 이름의 함수나 프로시저를 선언할 수 없음
  • Overload를 사용하면 동일한 범위에서 같은 이름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시저와 함수를 선언할 수 있음
  • 호출 시 파라미터 리스트의 차이에 의해서 구분 됨
Function divide(x,y : Integer) : Integer; Overload;
Function divide(x,y : Real) : Real; Overload;
---------------------------------------------------------------------
연산자

연산자는 c와 거의 비슷하다. 틀린 것만 쓰겠다.

  • Div 는 정수형 나눗셈(어차피 /가 정수, 실수를 나눌 수 있으니 /쓰자 -_-)
  • Mod 는 나머지 값(C에서 %와 같다)
  • Shl 은 왼쪽으로 비트 이동
  • Shr 은 오른쪽으로 비트 이동
  • @ 연산자는 변수, 프로시저, 함수 또는 메소드의 주소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
  • <> 는 같지 않다. (C는 != )
---------------------------------------------------------------------
초 간단하게 문법을 대충 봤다(너무 대충이라도 나만 알면 장땡 ㅡ.ㅡ)
내일은 본격적으로 프로그램을 만들어 볼꺼다.
근데 프로그램 만들면 어찌 여기에 올리지 ㅡㅡ??